내가 쓴 논문 5

한반도에서 처음 발견된 바퀴와 흰개미, 그리고 사마귀의 친척 화석

이번 연구는 언론사 '이데일리'에서 보도되기도 하였습니다. 보도해주신 기자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기사 링크: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25686639023072&mediaCodeNo=257&OutLnkChk=Y 한국 학자 이름 딴 '고대 곤충' 생겼다국내외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고대 곤충명에 한 학자에게 받은 도움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화제다. 학명에 우리나라 학자의 이름이 들어간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공주교대 출신의 독립연www.edaily.co.kr(이데일리: 한국 학자 이름 딴 '고대 곤충' 생겼다)  바퀴, 사마귀, 그리고 흰개미. 이 곤충들은 언뜻 볼 때는 거리가 매우 멀고 서로 관련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사실 이들은 가까운 친척 관계..

내가 쓴 논문 2024.09.29

진주층의 수서딱정벌레 -라에톱시아와 크레토타에니아-

여러분은 혹시 물땡땡이라는 곤충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주로 논이나 연못에 사는 이 딱정벌레들은 주로 수초를 먹으면서 사는 곤충입니다. 여름철에 수초에 상처를 내어서 알주머니를 만드는 방식으로 번식을 하지요. 이 물땡땡이는 전 세계에 많은 친척이 살고 있습니다. 화석기록을 보면 이 곤충들은 최소한 1억 8천만 년 전부터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1억 년 전 시기에 호수에서 만들어진 지층이 존재합니다. 바로 진주층이라는 지층이지요. 이 지층에서는 지금까지 매우 많은 숫자의 발자국과 곤충 등 여러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그중에는 콥토클라바라고 하는 수서 딱정벌레의 화석이 매우 흔하게 발견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제가 기존에 학계에 논문으로 보고하였던 여러 원시딱정벌레 화석이 있습니..

내가 쓴 논문 2024.07.05

진주층의 원시딱정벌레들

제가 제 첫 번째 논문을 쓰고 난 이후로 쓴 두 번째 논문은 딱정벌레의 한 분류군인 원시딱정벌레의 화석이었습니다. 이 곤충들은 화석기록을 보면 공룡보다 훨씬 더 오래전에 등장하여 지금까지도 계속 살고 있는 분류군입니다. 화석기록을 보면 대략 3억 년 전부터 지구상에 그 모습이 등장한 분류군이 바로 딱정벌레인데, 원시딱정벌레는 그중에서도 상당히 초창기에 등장한 것입니다. 지금 한반도에는 곰보벌레 (Cupes anguliscutis)한 종만 살고 있지만, 화석기록을 보면 여러 종류의 원시딱정벌레가 한반도 지역에서 살았음을 알고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논문으로 내었던 원시딱정벌레 노토쿠페스 프레메리스(Notocupes premeris)역시 그중 하나이죠. 보러 가기 최근에 좋은 기회를 얻어서 진주층에서 발견된..

내가 쓴 논문 2023.11.18

노토쿠페스 프레메리스-남한에서 처음 발견된 원시딱정벌레의 화석

딱정벌레는 곤충의 한 종류입니다. 곤충은 현재 전세계에서 살아가는 동물 중에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지요. 딱정벌레는 그 곤충에서 대략 40%라는 많은 분류군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 만큼 이들은 오늘날에도 지구상 여러 지역에서 각기 다른 여러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굉장히 방대하기에 딱정벌레를 연구하는 학자들조차 모든 딱정벌레를 전부 연구하지는 못하고 그중 일부 분류군만 평생에 걸쳐서 연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방대한 딱정벌레 중에서 곰보벌레라고 하는 딱정벌레가 있습니다. 이들은 딱정벌레중에서 원시딱정벌레아목이라고 하는 매우 원시적인 딱정벌레에 속합니다. 최근에 이 티스토리의 운영자, 그러니까 제가 새로운 원시딱정벌레아목에 속하는 곤충의 화석을 보고한 논문이 마침내 나..

내가 쓴 논문 2022.09.07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명주딱정벌레 화석-칼로소마 키미

명주딱정벌레 여러분은 명주딱정벌레라는 곤충을 아시나요? 이 곤충은 딱정벌레류에 속하는 곤충 중에서, 육식을 하는 딱정벌레과(Carabidae)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이들은 주로 나방의 애벌레를 잡아먹고 살기에 애벌레 사냥꾼(caterpiller hunter)라고 불리지요. 보통 딱정벌레과에 속하는 곤충들은 하늘을 날 수 없는데(그래서 영어 이름도 ground beetle, 땅에 사는 딱정벌레라고 부릅니다.), 명주딱정벌레는 유일하게 딱정벌레과 중에서도 날아다닐 수 있지요. 이런 특징 덕분에 명주딱정벌레는 서식지가 다른 친척들보다 훨씬 더 넓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동부지역, 러시아 동부지역에는 검정명주딱정벌레, 북방명주딱정벌레, 풀색명주딱정벌레, 큰명주딱정벌레 4종이 살고 있습니다. 최근에 이 블..

내가 쓴 논문 2021.11.2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