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읽다/절지동물 18

특이한 눈을 가진 곤충 -나는 주변을 모두 볼수 있지!-

눈은 빛을 감지하는 기관입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눈은 앞을 보는 역할을 합니다. 눈이 없었다면 우리는 앞에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었을 겁니다. 괜히 옛말에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라는 말이 있는게 아니지요. 그런데 모든 눈이 다 똑같지는 않습니다. 사람의 눈과 달리 곤충의 눈은 수백 개가 넘는 작은 낱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수많은 눈이 모이고 모여서 하나의 큰 눈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앞만 볼수 있는 사람과는 달리 곤충의 눈은 시야각이 더 넓고 대신 정확성은 떨어진다는 점이 다릅니다. 곤충의 눈은 시야의 선명함보다는 넓게 볼 수 있는 화각을 선택한 것이죠. 최근에 아주 재미있게 생긴 곤충의 화석이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미얀마의 호박에서 발견된 이 곤충은 특이하게..

1억년이 넘는 자식사랑-알을 다리에 품은 수서곤충

모성애, 부성애 모두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간혹 자식을 홀대하고 차별하는 막장 부모에 대한 이야기가 종종 들리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에게 자식은 사랑이며 특히 자식이 어릴 경우에는 철저한 보호를 해주려는 본능이 생기게 하는 존재입니다. 동시에 어린 자식에게 부모는 말 그대로 세상의 전부이며 가장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존재입니다. 이런 부모의 자식사랑은 사람에게만 국한된 일이 아닙니다. 오늘날에 많은 생물들이 다 각자의 방식으로 자손을 남기고, 또 자손을 직접 돌보거나 최소한 자손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 아니면 포식자에게서 아직 도망칠 수 없는 알에서 태어나지도 못한 자식이 공격받는 일만큼은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자손을 낳습니다. 물론 말 그대로 아무것도 하지..

놀라운 보존율의 잎벌레 화석

여러분, 혹시 잎벌레라는 곤충을 들어보셨나요? 잎벌레는 딱정벌레의 한 종류로 긴 더듬이에 몸이 타원형과 비슷한 작은 곤충입니다. 주로 식물을 갉아먹는데, 그중엔 배추나 상추 같은 잎을 먹는 채소도 있습니다. 인간의 입장에서 보면 해충인 곤충이지요. 잎벌레는 여러 번 화석으로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만 년 전 시대에 살았던 잎벌레의 화석이 발견된 사례가 있었죠. 최근에 미국의 그린 리버층(Green river Formation)이라는 지층에서 새로운 잎벌레의 화석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화석은 놀랍게도 날개의 무늬까지 보존되었을 정도로 보존율이 좋지요. 1. 그린 리버층의 잎벌레 그린 리버층은 미국의 유타, 콜로라도, 와이오밍주에 걸쳐서 분포한 신생대 고 제3기 에오세 지층으로, 5천 3백..

배설물 속 딱정벌레-완벽한 형태로 보존된 채로 배출된 딱정벌레

1. 더럽지만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 배설물, 그중에서 우리가 소위 대변이라고 부르는 것은 매우 더러운 것으로 인식됩니다. 뭐, 실제로도 그렇지요. 냄새나고, 찝찝하고 색깔도 별로 깨끗하지 않고.... 거기다가 쌀 때 대장에서 사는 대장균이 같이 배출되니 빨리 치우지 않으면 질병을 옮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변은 사실 동물을 연구할 때는 나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변에서 발견되는 것들을 통해서 어떤 것을 주로 먹었는지, 어떤 질병은 없는지, 장운동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지등 여러 가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옛날 조선 시대 때는 왕의 대변을 관장하는 나인이나 내관이 있었을 정도로, 대변은 사실 매우 중요한 정보를 여러 가지 담고 있습니다. 이는 화석도 딱히 다르지 않습니다...

새로운 화석 잠자리 분류군 Cephalozygoptera

잠자리 잠자리는 매우 유명한 곤충이지요. 두 쌍의 날개를 지녔고 머리에는 매우 큰 눈을 한 쌍 지닌, 길쭉한 몸을 지닌 곤충입니다. 분류학적으로 잠자리는 곤충강(insecta)에서 유시아강(날개를 지닌 곤충)->고시아강(날개를 뒤로 접을 수 없는 곤충.)->잠자리목(Odonata)에 속하는 곤충들을 부르는 말입니다. 현재 살아있는 잠자리목은 크게 셋으로 나누어집니다. 실잠자리아목(zygoptera)과 잠자리아목(Epiprocta)으로 나누어지지요. 잠자리아목(Epiprocta)은 다시 잠자리하목(Anisoptera)과 옛잠자리하목(Anisozygoptera)으로 나누어지지요. 그런데 최근에 이 두 아목이 아닌 또 다른 분류군에 속하는 잠자리의 화석이 보고되었습니다. 본래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엔 실잠자리아..

북한에서 발견된 화석(3).신의주에서 발견된 곤충화석(내시류)

https://dinos119.tistory.com/entry/%EB%B6%81%ED%95%9C%EC%97%90%EC%84%9C-%EB%B0%9C%EA%B2%AC%EB%90%9C-%ED%99%94%EC%84%9D2-%EC%8B%A0%EC%9D%98%EC%A3%BC%EC%9D%98-%EA%B3%A4%EC%B6%A9%ED%99%94%EC%84%9D%EB%B6%88%EC%99%84%EC%A0%84-%EB%B3%80%ED%83%9C%EB%A5%BC-%ED%95%98%EB%8A%94-%EA%B3%A4%EC%B6%A9 (이 글에서 이어집니다.). 이전 글에서 보듯 북한에서, 보다 정확히 중국과 접경지대인 신의주에서 여러 종류의 곤충화석이 보고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선 북한에서 발견된 곤충 중에서 내시류 즉, 번데기 ..

북한에서 발견된 화석(2). 신의주에서 발견된 곤충화석(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

https://dinos119.tistory.com/entry/%EB%B6%81%ED%95%9C%EC%97%90%EC%84%9C-%EB%B0%9C%EA%B2%AC%EB%90%9C-%ED%99%94%EC%84%9D1-%EC%8B%A0%EC%9D%98%EC%A3%BC%EC%9D%98-%EC%83%88-%ED%99%94%EC%84%9D (이 글에서 이어집니다.) 이전 글에서 보듯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대인 신의주에는 백악기 전기에 만들어진 퇴적층이 존재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여기에서 발견된 새 화석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죠. 이번 글에서는 곤충, 그중에서 번데기과정을 거치지 않는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북한에서 나온 곤충화석 연구는 주로 분류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며 생태나 다른 ..

강남스타일과 1억년 전 파리 화석

(본 글은 주제가 되는 곤충 화석의 학명의 모티브가 된 강남스타일 노래를 들으면서 읽으면 더 재미있을 겁니다.) 2012년에 한류 관련해서 아주 전설적인 노래가 나왔습니다. 바로 싸이의 강남스타일이었지요. 유튜브 조회 수 10억을 넘은 전설적인 기록을 세운 노래였습니다. 한류의 역사를 크게 바꾼 그런 노래였지요(고백 하나 하자면 전 이 노래가 뜨면서 싸이라는 가수를 알게 되었습니다!). 2019년 12월에 이 노래의 제목 강남스타일에서 따온 학명이 붙은 곤충화석이 발표되었습니다. 부키나토르미아 강나미(Buccinatormyia gangnami)라는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이지요. 이 곤충은 우리나라 진주시에 분포한 진주층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대략 1억 1천 3백만 년 전에서 1억 년 사이에 만들어진 지층이지..

다윈의 예상이 옳았다! 바람과 곤충의 날개 퇴화

곤충의 능력 중 하나를 고르라면 하늘을 나는 것일 겁니다. 우리가 초등학교에서 배웠던 곤충을 정의하는 기준이 3쌍의 다리와 날개를 지닌 절지동물이라고 배웠었지요. 대부분의 곤충에게 날개는 매우 유용한 신체임은 틀림없습니다. 날개가 있어 먼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는 점, 땅 위를 다니는 포식자를 피할 수 있다는 점, 멀리 떨어진 섬과 섬 사이도 다닐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지요. 그런데 모든 곤충에게 날개가 있어 날 수 있는건 아닙니다. 날 수 없는 곤충도 있지요. 날개를 가진 것은 분명 매우 큰 장점인데 왜 곤충 중에서 날개를 잃은 곤충이 존재하는 걸까요? 이 의문점은 무려 찰스 다윈이 살던 시절부터 있었습니다. 다윈은 유시아강에 속하는 곤충이 비행능력을 잃은 이유를 다윈은 해안가 근처의 바람으로 설명하였습..

절지동물의 초기 조상 키린시아 장기(Kylinxia zhangi)

신체가 마디로 이루어진 생물. 절지동물 절지동물은 몸이 마디로 이루어진 동물을 뜻합니다. 절지동물에 속하는 동물은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곤충, 곤충으로 자주 오해받는 노래기나 지네와 같은 다지류, 게나 새우 같은 갑각류, 그 외에 거미, 전갈 등등 상당히 많지요. 대중들에게 익숙한 고생물인 삼엽충 역시 절지동물에 속합니다. 그 외에도 개형충이라고 하는 아주 작은 생물도 절지동물에 속하지요. 절지동물들은 매우 오래전부터 지구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곤충이 진화하던 대략 3억 년 전에 이미 갑각류가 존재했으니까요(곤충은 갑각류에서 진화하였습니다.) 절지동물의 조상 격이 되는 생물의 화석이 최근 중국 난징 지질학, 고생물학 연구소(Nanjing Institute of Geology and Palaeont..